출처 :아트피아 http://www.photoloves.com
내식 컬러 필름(coupler in emulsion layer type)
필름 제조시 커플러가 유제층에 내재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유제층 내부에
산재한 커플러는 현상 처리시에 발색 현상주약의 산화생성물과 반응하여 비로소 발색하게 된다. 내형 발색방식은 외형 방식에
비해 유제층이 두껍고 각 층의 발색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선예도나 색의 순도가 다소 떨어지나 현상 처리가 편리하고 빠르다
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컬러 네거티브 필름 및 리버설 필름, 컬러 인화지의 대부분은 내형 발색방식이
다.
네거티브(negative)
포지티브에 대한 반대어. 현상된 사진의 화상에서 피사체의 명암이 반대로 기록된 것을 말한다. 컬러 네거
티브의 경우는 명암이 반대일 뿐 아니라 색도 그 보색이 된다. 보통, 네거티브의 화상은 현상 처리에 따라 필름 바탕 위에 형성
되며, 음화를 통과한 빛이 인화용 감광재료(인화지) 위에 투영됨으로써 양화 화상이 만들어진다
노광(exposure)
감광재료의 감광면에 빛을 작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노출과 같은 의미이나 일본의 광학용어 원안작성위원회에서는 대체적으로 수동측의 감광재료를
주체로 한 경우에는 노광으로, 그리고 인간이나 조리개, 셔터 기구등 빛을 주는 측을 주체로 한 경우에는 노출로 정리하고 있다. 이에 따른
경우, 카메라에서 셔터로 감광시키는 것을 노출이라고 하고, 그 밖에 인화
나 반전 현상시 빛의 양을 말할 때에는 노광으로 구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노출계(exposure meter)
촬영에 필요한 적정 노출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셔터 속도와 조리개값을 산출하는 측광기구. 노출계는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와 단독의 것이
이다. 또한 노출계에는 피사체에 입사되는 빛을 측정하는 입사광식과, 반사광을 측정하는 반사광식이 있다.
카메라에 내장된 것은 모두 반사광식으로서 피사체 전체를 평균적으로 측광하는 타입과, 피사체의 특정 부분을 측광(스폿 측광)하는 타입, 또
양방의 측광을 분할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 등이 있다.
노치 코드(notch code)
컷 필름의 한쪽 가장자리에 V형 또는 원형 형태의 새김표를 파놓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는 필름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기 때문에 암실에서도
구분이 가능하며 유제면의 앞뒤 식별을 할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