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저장    자동로그인
회원가입아이디/비밀번호찾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회원애경사
자료실
사진전시회
촬영지소개
사진강좌
건의함
      사진강좌
HOME > 회원광장 > 사진강좌
[ㄱ] 사진 용어해설
글쓴이 : 관리자 (218.♡.8.35)
작성일 : 2004-02-11 15:11:39, 조회: 2857, 

출처 :아트피아 http://www.photoloves.com

가이드 넘버( Guide number)
스트로보나 섬광전구의 노광계수를 가리킨다.
약자로 GN이며, 예컨대 12라든가 24등으로 부른다.
수치가 크면 클수록 광량도 많아진다.
이 숫자를 발광체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로 나누면 그때의 적정조리개값이 산출된다. 반
대로 이것을 조리개값으로 나누면 촬영거리(발광체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즉 적정조리개값(f 넘버) = GN / 촬영거리
또는 GN = 적정조리개값(f넘버) ´ 촬영거리

감도(sensitivity)
필름이나 인화지 등의 빛을 느끼는 정도를 약칭하여 감도라 한다. 감도표시는 미국의 ASA, 독일의 DIN, 영국의 BIS, 일본의 JIS 등 나라마다 다르게 하고 있었으나, 1981년부터 국제적인 표시로서 ASA와 DIN을 토대로 한 ISO가 사용되고 있다.
R 필름 감도 참조

감마(gamma)
감광재로의 콘트라스트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특성곡선의 경사도, 즉 농도의 변화/노광량의 변화를 말한다.
단위로 g (감마)라는 기호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필름의 경우에 감마는 0.6 정도이며 이보다 높으면 경조, 낮으면 연조를 나타낸다.
동일한 감광재료로 노광 및 현상 조건을 일정하게 하면 일정한 감마를 얻을 수 있으므로 현상 데이터를 정하는 기준으로 이용한다.
감색성(Color sensitivity) 감광재료가 빛의 파장, 즉 색에 대해 느끼는 정도를 말한다. 일반적인 컬러 필름에서는 Y, M, C 3층의 감색성을 지닌 유제에 색소를 첨가하여 육안에 가까운 시감도를 맞추고 있다.
따라서 정색성(orthochromatic) 필름, 전정색성 (panchromatic) 필름, 적외성(infrared) 필름 등으로 조절하여 제조하게 된다.
개방측광(full-aperture metering) 방식 렌즈의 조리개를 개방한 채 조리개를 죄었을 때와 꼭 같은 조건으로 측광할 수 있도록 고안된 TTL 측광방식이다.
조리개 링을 회전시키면 전기적인 저항값이 변하면서 기계적으로 노출계의 회전을 컨트롤하여 적정한 셔터 속도를 표시한다.
조리개를 실제로 죄어 그 광량을 재는 죔측광방식도 한때 있었으나, 파인터 접안부로부터의 역입 등으로 정확성이 없는 수가 많기 때문에 개방측광만 남았다.

건조얼룩(uneven drying)
필름이나 인화지 등의 건조시에 나타나는 얼룩을 말한다.
수세 후 필름에서 스펀지로 여분의 물기를 닦아내는데, 이때의 작업이 불충분하여 수분이 남아 있으면 유제면에 반점 같은 얼국이 생긴다. 또 인화지에서는 헤로기로 건조시킬 때, 꼭 밀착시키지 않으면 얼룩 또는 부분적으로 광택이 없는 표면에 나타나기도 한다.
RC페이퍼로 충분히 건조시키지 않은 채 겹쳐 놓게 되면 인화지끼리 달라붙어 광택을 잃게 된다.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
촬영 화면 내에 매우 밝은 광원, 예컨대 태양같은 강한 빛을 찍으면 렌즈 내의 오목면에 반사되어 광원부와 대칭적인 화면 위치에 플레어(flare)가 생겨 화상의 선명도를 떨어뜨린다.
이것을 고스트(유령) 이미지라 부른다. 코팅에 의해 어느 정도 방지가 되나, 강한 빛은 조리개 모양의 허상의 형태로 나타난다.

관용도(latitude)
필름의 노출에 다소 과부족이 있더라도 허용 가능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노출의 범위를 말한다. 흑백 필름과
컬러 네컨티브 필름은 컬러 리버설 필름보다 일반적으로 노출 관용도가 넓다. 그리고 피사체 명암 차이의 어느 한도까지 재현
가능한가의 범위를 필름 관용도 또는 현상 관용도로 표현하기도 한다.

광각 렌즈(wide angle lens)
일반적으로 (a) 표준 렌즈보다 초점거리가 짧고 이미지 서클이 넓다.
(b) 표준 렌즈의 화면 대각선이 45° 전후인 데 대해 화면 대각선이 60° 이상이다.
(c) 표준 렌즈에 비해 넓은 범위로 찍히며 촬영 대상이 렌즈에 가까울수록 크게 과장된다.
따라서 광범위하게 촬영되고 배경은 작게 찍히므로 원근감이 강조된다.

광선
광선의 선택 사진은 광선이 있어 존재한다.
광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문제는 사진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광선에는 그 비춰지는 방향에 따라 순광, 사광, 측광, 반역광, 역광 등이 있으며 또한 광선에는 색이 있다.
촬영시 순광은 별 문제가 없으나,
역광에서는 물체의 윤곽만 희게 반짝이고 그림자 부분은 어둡게 되어 실루엣 상태가 된다.
역광촬영에서는 신비스럽고 드라마틱한 표현이 가능한 반면 설명적인 묘사는 부적당하다. 반역광(사광)의 경우는 밝음과 어둠의 음영이 생겨 입체적으로 보인다.
이 광선은 풍경에서 정물까지 폭넓게 이용된다. 그러나 인물사진을 묘사할 때는 그림자
부분의 보조광이 필요하게 된다.

구도(Composition)란?
어떠한 조형 표현에도 꼭 붙어 다니는 문제로 사진도 예외는 아니며 한정된 평면에 화상을 잘라내어 무엇인가를 표현하기 위하여 그 화면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있는 것이다.
사진의 경우 특정의<구도상의 법칙>이라고 하는 사진 그 목적이 매우 광범위하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의 다목적성에 의하여 그 구도에 대하는 생각법도 매우 다양성이 있으며
한정된 법칙에 꼭 맞도록 해서는 곤란하다.
함부로 도식적인 구도의 법칙 등을 예시하는 것은 사진가의 창조력을 막는다는 결과가 되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구도가 지닌 심리적인 효과-확산이나 집중, 안정감이나 불안정감, 역감등에 대하여 각자가 그 표현목적이나 내용에 의하여 그것들의 심리효과를 함께 담아 자유자재한 응용이 바람직하다.
말하자면 구도는 작가자신이 자유로운 발상에 의하여 창작하는 것이며, 구도에 관한 서투른 선입관을 가진다는 것은 창작의 방해가 된다는 것을 알야야 한다.
스냅숏의 경우에 특히 그 경향이 강하며 상대가 어떠한 움직임을 하고 있는가 셔터 직전에도 모를 경우가 많으므로 화면 구성은 순간의 판단으로 결정지워야 할 것이다.
이 때 대상에서 받은 감동, 형에서 받는 시각적인 미나 감정적인 쇼크이다.
이 순간적인 감동을 여하히 강한 메시지를 전달 할 것인가라는 수단으로서 사진가의 조형감각의 작업만이 진실한 화면구성이 창작될 것이다.
즉 자기자신의 몸에 지닌 조형감각과 대상을 예리하게 포착하는 감수성과의 결부만이 창조적인 구도인 것이다.
흑백의 경우, 흑과 백의 명암의 톤과 그의 매수(Mass)의 배치에서 구성되고 있는 화면이 칼라에서는 색채의 매스로 구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표현목적에 대하여 효과적인 화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색채를 강조시킬 것인가,전체의 화면을 어떠한 색채로 통일시킬것인가, 또는 어떤 색의 대비(Contrast)를 이룰 것인가 등, 작화의 경우에는 이미 <색면의 구성>이라는 것을 의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 색채나 구성의 선택에는 참으로 전형이란 것은 없다. 관습적으로 말하는 색채의 조화의 원칙 등에 얽매임없이 전혀 작가의 자유로운 발상에 의하여 대담한 화면을 구성하여 나가는 것을 권유하고 싶다. 작품의 승부를 결정하는 것은 작가자신의 색채감각에 있는 것이다. 조화(Harmony) 뿐만 아니라 때로는 불협화음의 미도있는 것이 현대의 조형이다.
구도는 사진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데이션(Gradation)
계조라고도 한다. 네커티브나 인화상의 새도와 하이라이트 사이의 농도 단계를 말한다. 하이라이트, 새도우가 존재하고 중간농도가 풍부하면 그러데이션이 좋다고 하며 중간농도의 범위가 좁으면 콘트라스타가 강한 사진이 되기 쉽다.
그레이카드는 반사율 18%의 회색으로 노출 표준노출 측정카드 이다.



Total 46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25년 부산전국사진강좌 사무국 25-03-05 10
5   [ㅁ]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803
4   [ㄹ]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287
3   [ㄷ]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151
2   [ㄴ]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302
1   [ㄱ]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2858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