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저장    자동로그인
회원가입아이디/비밀번호찾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회원애경사
자료실
사진전시회
촬영지소개
사진강좌
건의함
      사진강좌
HOME > 회원광장 > 사진강좌
[ㅂ] 사진 용어해설
글쓴이 : 관리자 (218.♡.8.35)
작성일 : 2004-02-11 15:19:18, 조회: 1403, 

출처 :아트피아 http://www.photoloves.com

바리타지(baryta paper)

인화지의 베이스로 쓰이는 종이(원지)로서 젤라틴액에 미세한 황화바륨(바리타)을 혼합하여 이를 코팅한 종이를 말한다.
또 이렇게 코팅된 층을 바리타층(baryta layer)이라 한다. 바리타층은 인화지 면의 반사율을 높여서 한층 더희게 하고 광택을 증가시키며, 유제가 종이 섬유 속으로 스켜드는 것을 막음으로써 화상의 흑화를 증가시키며 검정색의 깊이를 더한다. 이 바리타층 위에 감과유제와 보호막을 도포하여 인화지를 만들게 된다.

반사망원 렌즈 -- 미러 렌즈

반사식 노출계(reflected light exposure meter)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을 재는 노출계, TTL 노출계도 같은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입사광식과 달리 피사체의 반사율에 따라서 큰 폭으로 변하므로, 중간색채나 표준반사판을 써서 평균노출량을 산출하든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체크하여 그 수치를 보아 적정이라 생각되는 것을 평균적으로 산출하기도 한다.

반사식 카메라(reflex camera)

파인더 시스템 내에 거울을 내장시킨 카메라로, 렌즈로부터 들어온 빛을 미러로 반사시켜서 초점을 맞추는 시스템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일안 반사식(SLR) 카메라로, 촬영 렌즈를 통한 빛을 미러로 반사시킴으로써 렌즈의 초점거리가 변하더라도 필름상에 찍히는 상과 같은 것을 파인더로 관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안 반사식(TLR) 카메라는 같은 초점거리의 촬영용 렌즈와 파인더용 렌즈를 상하로 배치한 카메라이다.

반사판 -- 리플렉터

발광 다이오드 LED

발색현상(color development)

컬러 피름이나 컬러 인화지의 현상으로 색화상을 만들기 위한 처리를 말한다. 컬러 네거티브와 인화지의 발색 현상의 최초의 현상처리로 행해지지만, 리버설에서는 일단 네거티브 현상하고 그 위에 반전 노광시킨 다음 현상해서 색화상을 만든다. 코다크롬과 같은 외식 필름은 세 개의 층을 한 층씩 현상하게 되므로 특정 현상소에서만 현상이 가능하다.

버닝(burning)

인화기법의 하나로서 화면 일부에 노광을 더 주는 것을 말한다. 즉 다징(dodging)과는 반대의 방법으로 가리개(검은 마분지)의 중앙부에 구멍을 뚫어서 그 틈새를 통하여 부분 노광을 하는 것이다. 확대 사진에서 톤이 엷어 디테일이 약한 하이라이트 부분의 농도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버튼 전지(button-type battery)

초소형의 알칼리 망간 전지, 수은 전지, 산화은 전지 등 단추같이 생긴 전지를 말한다. 전압은 보통 1.5V이며 1~4개를 써서 TTL AE, 셔터 제어 등에 이용한다.

베이어닛 마운트(bayonet mount)

렌즈 교환시 카메라 탈착 형식의 한 가지로서 렌즈 뒷부분의 마운트한 볼록한 돌기가 있고, 보디측 대응 부분에 오목 모양의 부분이 있어서 , 이 양자가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마운트이다.

벨로즈(bellows)

일안 반사식 등의 접사용 주름장치를 말한다. 렌즈와 보디의 중간을 연결하는 주름통으로서 레일에 의해 구성된다. 즉 보디와 렌즈의 중간에 주름통이 달린 것으로서 전용 렌즈 외에 일반용 렌즈를 사용하여 초접사 효과를 낼 수 있다.

분할측광(contrast light compensated meter)

촬영 촬영하는 화면 안에서 몇 가지로 분할하여 측광하는 시스템, 그 명암의 균형을 잡아 적절한 노광량을 산출하는 TTL 측광법. 특히 역광이라든지 화면 일부에 밝은 대상이 들어 있을 경우, 이 분할측광에 의해서 평균적인 밝기로 보정하면 극단적인 노광부족을 방지할 수가 있다. 2분할, 5분할, 6분할 등 제조회사에 따라 각기 다르다.

뷰 카메라(view camera)

초점 글라스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구성하는 카메라로서 모노레일이라 불리는 레일 위에 렌즈부, 필름부를 두고 중간을 주름통으로 연결한 것이다. 렌즈부, 필름부가 모두 상하 좌우로 스윙, 시프트할 수 있으며 틸트, 라이징 등의 무브먼트를 자유로이 할 수 있다.
렌즈부는 앞판과 함께 교환이 가능하고 필름부도 시트, 팩, 롤 등 각종 감광재료의 교환이
가능하다. 6´ 9cm 판, 4´ 5인치판, 5´ 7인치판, 8´ 10인치판 등이 있다.
브라이트 프레임 파인더(bright-frame finder) 브라이트 프레임이라고 하는 것은 광학 파인더의 시야 안에 촬영 범위를 표시하는 것은 밝은 윤곽의 상을 맺게 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 밖으로도 파인더 상의 여유가 있으므로 피사체의 움직임을 보거나 화면을 구성하는 데 편리하다.

브라케팅(bracketing)

노출에 대한 약간의 오차를 두고 촬영하는 방법. 즉 노출 과부족을 현상 후에 선택할 수 있게 똑같은 조
건에서 노출만을 변화시켜 여러 장 찍는 것을 말한다. 또한 똑같은 조건, 똑같은 노출로 두 장 촬영하여 한 장만 먼저 현상해보
고 그 결과대로 나머지 한 장은 현상시간을 조절해 원하는 농도로 얻는 방법을 현상 브라케팅이라 한다. 특히 35mm필름의 앞부
분 5~6장만을 잘라 먼저 현상해보고 나머지의 현상시간을 조절하는 클립 테스트(clip test) 방법도 있다.

비구면 렌즈(aspherical lens)

사진용 렌즈는 보통 몇 개의 볼록 또는 볼록 오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의 구면 형태로 인
한 수차는 완전히 제거하기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이상적인 곡면을 지닌 렌즈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희망 아래 여러 가지로 연구
가 거듭되었고, 결국 오늘날에 와서는 비구면 렌즈가 몇 가지 탄생되고 있다. 비구면 렌즈는 여러 장의 렌즈 중에서 1~2개를 비
구면으로 제작함으로써 왜곡수차를 보장한다.

비네팅(vignette, vignetting)

후드의 앞부분이나 필터의 테와 같은 돌출된 것에 의해서 화면 내의 입사광이 차단되어 전혀 이미지가 맺히지 않았거나 화면 네 모퉁이가 광량 부족이 되는 것. 또 투시식 파인더에서는 촬영 렌즈의 격동에 의해 시야의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된 것을 가리킨다.

비은염 사진(non-silver photography)

할로겐화은을 사용하지 않고 화상을 기록하는 방식. 스틸 비디오 카메라, 산화아연, 셀렌
따위를 이용한 건식 보사기, 자외선을 이용하는 갈바 사진 (감광성 수지방식), 지아조 사진 등이 이에 속한다.



Total 46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25년 부산전국사진강좌 사무국 25-03-05 10
27   2013년 부산포토 아카데미 무료 강좌 개최 사무국 13-10-04 625
26   2013년 부산사진강좌 안내 사무국 13-07-08 687
25   2012년 제616회 부산사진강좌 수료자 명단 사무국 12-10-29 1195
24   2012년 부산사진강좌 안내 사무국 12-07-26 779
23   2011년 부산사진강좌 안내 사무국 11-09-16 911
20   디지털 이미지를 위한 전문 프로그램 : Photoshop Lightroom (1) 배두진 08-01-28 2665
19   2006,부산사진강좌 관리자 06-10-14 1644
18   한국의 사진 유래 관리자 04-02-12 1785
17   증감촬영 관리자 04-02-12 2438
16   적외선(컬러)필름 촬영 관리자 04-02-12 2468
15   사진의역사 관리자 04-02-12 1701
14   [ㅎ]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2292
13   [ㅍ]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835
12   [ㅌ]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415
11   [ㅋ]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977
10   [ㅊ]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468
9   [ㅈ]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415
8   [ㅇ]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210
7   [ㅅ]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406
6   [ㅂ]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404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