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저장    자동로그인
회원가입아이디/비밀번호찾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회원애경사
자료실
사진전시회
촬영지소개
사진강좌
건의함
      사진강좌
HOME > 회원광장 > 사진강좌
[ㅍ] 사진용어해설
글쓴이 : 관리자 (218.♡.8.35)
작성일 : 2004-02-12 12:51:38, 조회: 1835, 

출처 : 아트피아 http://www.photoloves.com

파이버베이스 인화지(fiber-base paper)
이전에 사용되었던 일반적인 인화지. 지금은 RC 인화지에 의해서 상당히 교체되었다.
 
파인더(view finder)
카메라로 피사체를 겨냥했을 때, 어디에서 어디까지 필름에 상을 맺게 하느냐의 범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투시 파인더와 반사 파인더가 있고, 또 초점 글라스(그라운드 글라스)로 직접 찍는 범위를 알 수 있는 것 등 다양한 구조와 형식이 있다.
 
?파인더 배율(finder magnification)
파인더에 의해 보이는 피사체의 크기와 직접 육안으로 보는 피사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같은 크기로 보이면 파인더 배율은 등배이나 보통 투시식 파인더는 이보다 적으며 1 이하가 된다. 배율을 높게 하여 크게 볼 수 있는 쪽이 초점 맞추기는 쉬우나 등배보다 약간 낮은쪽이 사용하기 좋기 때문에 0.6~0.9배 정도의 것이 가장 많다.
 
파트로네(patrone)
35mm 롤 필름의 보관용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원통 모양으로 필름이 출입하는 틈새에 차광용 천이 붙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들어노는 빛을 차단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컬러. 흑백 롤 필름은 파트로네에 넣어져 있으며 원칙적으로 재사용은 불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DX 코드가 채택되고 있다.
다른 용어로 매거진, 카트리지로도 표기한다.
 
?패닝(panning)
'흘려찍기'라고도 한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찍을 경우,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피사체와 같은 속도로 카메
라의 앵글이 따라가며 셔터를 끊으면 배경은 흐려지고 피사체만 정지되어 보이므로 유동감이 강조된다.
고속 셔터로 찍으면 효과가 없으므로 1/30~1/8초 정도에서 찍으면 배경이 흐르게 된다. 카메라 파인더 내에 피사체를 포착했을 때 그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카메라를 움직이는 것이 요령이지만,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미러에 의해서 블랙 아웃되는 관계로, 따로 투시 파인더를 카메라에 장치해두면 좋다.
 
퍼포레이션(perforation)
영화용 필름의 양가장자리 또는 한쪽에 뚫어진 연속된 작은 구멍. 35mm 필름에도 양측에 구멍이 나 있는데, 이 구멍과 카메라의 스프로킷 톱니 바퀴가 맞물려 필름을 한 콤마씩 이동시킨다.
 
펜타프리즘(pentaprism)
마름모꼴의 5각형 프리즘. 미러에서 90도로 반사된 빛이 프리즘 내에서 세 번 반사하기 때문에 상하 좌우가 교정되어 정립정상으로 볼 수 있게끔 되어 있다. 펜타고날 루프 프리즘(pentagonal roof prism)이 정식명칭이다.
 
편필터(polarizing filter)
광빛은 진동하면서 직진하는데, 이 진동 가운데 한쪽 방향은 통과시키지만 다른 한 방향은 반사해서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를 말한다.
예컨대 수면의 반사, 유리창의 반사 등을 제거하든가, 청공광을 보다 뚜렷이 묘사하고자 할 때,그리고 컬러사진일 경우 주위의 난반사를 제거하여 보다 선명한 색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 촬영 렌즈에 끼워서 천천히 회전시키면 이 편광이 제거되는 각도를 알 수 있다.

평균 측광(averaged overall light reading)
촬영하는 화면의 평균적 밝기를 재는 TTL 측광법. 수광소자는 주로 파인더 접안부에
있으며 초점 글라스 전체를 통해 들어온 밝기를 측광한다. 화면 내에 강력한 빛이 들어와 극단적인 명암차가 생기면 정확하지 않을 위험성이 있다. =>TTL 참조

팬쥬람(Pendulum)

곡선을 그린 도형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진자의 움직임으로 물리적인 운동을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다.
이 선의 커어브와 간격은 일정의 법칙에 의하여 정연되고 있으며 기분 좋은 기하학적인 도형을 그리고 있다.
순수한 시각적인 효과만의 목적인 디자인과 장식적 용도로 적용되고 있으나, 시각에서 받는
심리적인 반응-예를 들어 흡수되는 것 같은 느낌이나 무한하게 넓혀 나가는 느낌, 정교, 정밀, 경쾌, 착란 등-을 계산에 두고 도형을 선택하여 이용하면 콤머셜 사진에도 크게 효과를 올릴 수 있다.
테크닉 : 점광원(꼬마전지 등)을 천정에 실로 매달고 그것을 적당한 커어브를 그리는
것처럼 흔들어 주고, 그 빛의 궤적을 아래서 카메라로 타임노출(셔터는 개방으로)
로 촬영한다.
다른 물체가 찍히지 않도록 방은 완전히 어둡게 해야 한다.
점광원은 방향성이 없는 산광광원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카메라 바로위에 왔을 때 측면에 흔들릴 때 밝기의 차가 크고
선의 굵기가 일정하지 못하게 된다.
매달린 실은 흔들림이 되돌아오면 광원부가 회전하여 커어브가 엉킴으로
흔들림이 없는 낚시줄이 적당하다.
촬영중에 파인더를 볼 수 있는 2안레프나 투시파인더 식의 것이 좋다.
매다는 방법을 여러가지로 변경함으로써 새로운 패턴이 나타나 흥미롭다.
 
포괄각도(covering angle)

렌즈가 선명하게 상을 맺는 범위. 즉 포괄각도는 그 렌즈의 광학적 중심과 이미지 서클의 직경이 이루는 각도이다.
렌즈이 조리개를 죌수록 이 범위는 넓어진다. => 이미지 서클 참조
 
포그(fog)
사진에 나타난 얼룩이나 원치 않는 흑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빛에 의한 광학적 포그와 물리적 작용이나 약품 등에 의한 화학적 포그가 있다. 넓은 의미로는 이레이디에이션이나 헐레이션 및 플레어나 고스트 이미지 등의 현상도 포그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
연속계조를 생략하고 몇 단계로 톤을 세퍼레이트해서 흑백이나 컬러 인화지에 색광으로 인화하는 것이다. 릴리프, 라인 톤 등 솔라리제이션 효과도 일종의 포스터와 같은 색채효과하고 할 수 있다. 이 작화법을 포스터리제이션이라 한다.
 
포지티브 필름(positive film)
양화 상태의 사진영상을 말한다. 포지는 포지티브 필름의 약어로 슬라이드 필름을 의미하기도 한다. 현상 후에 바로 양화의 필름이 되므로 프로젝터를 통한 감상용이나 인쇄 원고로 많이 사용되나 관용도가 네거티브 필름보다 좁은 것이 단점이다.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
포컬 플레인 셔터에서는 두 장의 막이 좌우로, 또는 4~8장의 금속 막이 상하로 이동하여
그 슬릿(틈새)에 의해 필름에 노광이 된다. 이 막 중 먼저 스타트하는 것을 선막, 셔터를 닫는 쪽의 막을 후막이라 부른다.
 

포토그램(photogram)
포토그램이란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필름이나 인화지 위에 직접 평면체나 입방체의 대상물을 놓고 광선을 비추어 그 투형상에 의해 구성하여 표현된 것이며 특수기법 중에서도 이색적인 존재를 말한다.
단순한 표현사진으로 여긴다면 간단하게 생각되고 있으나, 그 기법은 다종다양하고 매우 정교한 면이 있으며 실제 시도하여보
면 깊이있는 기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재는 광범위하고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므로 그런만큼 최초의 발상이 매우 중요함으로 어떻게 이미지를 전개시킬 것인가가 작품의 승부가 좌우된다.
그리고 실제 제작과정도 빛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느낌으로 예리한 조형감각이 요구된다. 작품으로서 완성된 것으로 만들기 위하여 시각에 의한 심리효과를 충분히 계산된 위에 표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만레이와 모홀리 나기는 훌륭한 포토그램 작품을 많이 남겼다.

테크닉 :소재는 풍부하게 자유로이 선택하면 된다. 유리같은 투명이나 반투명한 것,
형의 변화가 풍부한 물체,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물품으로 인간과 심리적
연결이 강한 것이 효과적이다.
빛이 비추는 방향과 비추는 시간, 광원의 성질 등에 의하여 변화있는 화면이 된다.
흑과 백만의 단조로운 톤보다도 아름다운 중간톤이 있는 상을 만들자.
소재와 위치를 바꾼다든가, 높이의 변경과 노광을 중도에서 비쳐주면 톤의 변화가
생긴다.
같은 것은 두개로 될 수 없는 곳에 흥미를 느낀다.
무입자의 질감과 중간의 회색톤이 아름답다.
이것을 인화지로 감상해야 하며, 인쇄되면 효과는 줄어든다.
누구든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젤 위의 확대기 광원으로 비춘다면
좋을 것이다.

포트레이트(portrait)
전신을 찍어도 포트레이트이며, 얼굴만 클로즈업하여도 포트레이트이다.
포트레이트의 중심점이 되어있는 것은 이미 얼굴이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한다. 얼굴은 사람의 전부라고 말하여도 좋을 것이다.
특히 사진가로서 사람을 볼 때 얼굴만큼 흥미깊은 것은 없을 것이다.
그것은 정지하지 않고 움직이며 흐르며 그리고 무엇인가를 호소하며 무엇인가
말을 걸어오는 것이다. 지금의 표정은 다음 순간으로 이미 표정이 변하여 있으며, 내일도 그 다음날도 두번 다시 같은 표정을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다. 한사람 한사람이 그러하듯이 다른 사람에게도 또 다른 표정이 있다가 없어지며 있다가 또 사라진다.
렌즈를 통하여 사람의 얼굴의 표정을 포착한다. 사람의 표정을 포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살아움직이는 표정을 순간 포착한다는 것은 하나의 도전이다. 인물사진의 진실을 표현하려면 그 사람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을 포착해 나가야 한다.
즉 객관적묘사의 방법이다. 그리고 인물의 외면에 나타나는 용모와 특징을 포착, 그것을 살리기 위하여 화면구성과 조명처리
등 작가의 주관으로 사진적 화면의 미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보다 훌륭한 인물의 촬영은 인간성의 관찰이 중요하다. 먼저 시
각적인 구성을 염두에 두고 새로운 화면구성이 바람직하며, 작가의 주관이 강한 인물사진이어야 할 것이다. 주제의 발견은 직
관에 의하며 사진은 직관이외에서는 표현할 수 없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배경에 있다. 결국 주체인 인물을 강조시키기 위하
여 배경에 신경을 써야 한다. 배경이 복잡하다면 의미없는 인물사진이 되고 말 것이다. 배경의 색상여하에 따라 얼굴의 표정
이 뚜렷하게 강조될 것이다.
자연광이든 인공광이든 조명여하에 따른 포트레이트의 매력은 결정된다. 인물사진에서 포즈와 표정을 빼놓을 수 없으며 민감
한 순간포착을 위하여 셔터챤스의 훈련이 바람직하다.인물사진, 초상사진이라고도 한다.
 
표백(bleaching)
컬러 감광재료를 발색 현상하면 은화상과 색소화상이 함께 나타나지만 은화상은 컬러 사진에서 불필요하기 때문에 용해 제거된다.
이 때 표백은 다음의 정착 과정에서 은화상을 제거하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 은을 할로겐화은으로 바꾸어 놓는 치환역할을 하게 된다.
 
표준 렌즈(standard lens, normal lens)
촬영되는 화면의 대각선과 거의 같은 길이을 초점거리로 하는 렌즈를 가르킨다. 따라서
이것은 화면 사이즈에 따라 변하게 된다. 즉 35mm 카메라에서는 50mm 전후(화각 45도 전후), 식스판에서는 75~80mm (52~54도), 하프판에서는 28mm(56도)로 되어 있다. 최근 콤팩트 카메라에는 35mm(63도),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는 35~70mm 줌(34~63도) 렌즈가 달린 것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표준렌즈의 영역도 점차 넓어지고 있다.
 
표준반사판(standard gray card)
반사율 18%의 회색 대지. 반사식 노출계를 사용하여 기준이 되는 노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사체의 명암이 극단적인 경우에는 이 표주반사판을 피사체와 같은 위치에 두고 측광하여 평균 광량을 산출한다.
 
푸시(push) - 증감현상

 
프레이밍(framing)
카메라의 화면 구성. 즉 촬영시에 화면을 정리하여 트리밍을 하지 않더라도 필름 면 가득히 확대해서 작화할수 있도록 처음부터 파인더에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프레이밍(Framing)의 중요성
프레이밍이란 거저 화면의 틀 속에 필요한 목적물이 짜임새 있게 구성한 것만이 아니라 조형처리와 사진가의 사상이 표현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사진의 창작은 작가의 의도에 의하여 넓은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의 사상 일부를 파인더로 보는 사각 틀안에 훌륭한 배치와 구성, 공간, 시간의 처리가 되고, 틀속의 스페이스(Space)안에 쓸데없는 것을 피하고 충실히 보는 이에게 작가의 의도.사상을 분명하게 알도록 전달해야 한다.
여기서 명심할것은 사진의구도는 회화의구도와 근복적으로 성격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Total 46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25년 부산전국사진강좌 사무국 25-03-05 10
27   2013년 부산포토 아카데미 무료 강좌 개최 사무국 13-10-04 625
26   2013년 부산사진강좌 안내 사무국 13-07-08 687
25   2012년 제616회 부산사진강좌 수료자 명단 사무국 12-10-29 1196
24   2012년 부산사진강좌 안내 사무국 12-07-26 779
23   2011년 부산사진강좌 안내 사무국 11-09-16 911
20   디지털 이미지를 위한 전문 프로그램 : Photoshop Lightroom (1) 배두진 08-01-28 2665
19   2006,부산사진강좌 관리자 06-10-14 1645
18   한국의 사진 유래 관리자 04-02-12 1785
17   증감촬영 관리자 04-02-12 2438
16   적외선(컬러)필름 촬영 관리자 04-02-12 2468
15   사진의역사 관리자 04-02-12 1701
14   [ㅎ]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2292
13   [ㅍ]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836
12   [ㅌ]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416
11   [ㅋ]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978
10   [ㅊ]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469
9   [ㅈ]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416
8   [ㅇ] 사진용어해설 관리자 04-02-12 1211
7   [ㅅ]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407
6   [ㅂ] 사진 용어해설 관리자 04-02-11 1404
 1  2  3